미스터 션샤인

덤프버전 : (♥ 0)

파일:미스터 선샤인_로고.png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2017 ~ 2020
파일:비밀의숲_black.png
(2017)
파일:명불허전(드라마) 로고.png
(2017)
파일:변혁의 사랑 로고.png
(2017)
파일: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로고.png
(2017)
파일:화유기로고.png
(2017~2018)
파일:라이브 드라마 로고.png
(2018)
파일:무법변호사 로고.png
(2018)
파일:미스터션샤인로고.png
(2018)
파일:나인룸로고.png
(2018)
파일: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로고.png
(2018~2019)
파일:로맨스는 별책부록 로고.png
(2019)
파일:드라마 자백 로고.png
(2019)
파일:아스달연대기로고.png
Part 1, 2
(2019)
파일:호텔 델루나 로고.png
(2019)
파일:아스달연대기로고.png
Part 3
(2019)
파일:날 녹여주오 로고.png
(2019)
파일:사불로고.png
(2019~2020)
파일:하바마로고.png
(2020)
파일:화양연화-삶이꽃이되는순간로고.png
(2020)
파일:사이코지만 괜찮아 로고.png
(2020)
파일:비밀의숲2_black.png
(2020)
파일:스타트업로고.png
(2020)
파일:철인왕후 로고.png
(2020~2021)
둘러보기

2017~20202021~2025




김은숙 작품 목록
[ 펼치기 · 접기 ]

#000,#e2e2e2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55595c><tablecolor=#000><bgcolor=#BFB8C6> {{{#fff,#1f2023 [[:분류:김은숙/작품|{{{#fff,#1f2023 '''드라마'''}}}]]}}} || ||<width=25%> [[태양의 남쪽|[[파일:태양의 남쪽 로고.png|width=100%]]]][br] {{{-2 (2003)}}} ||<width=25%> [[파리의 연인|[[파일:파리의 연인 로고(흑).png|width=100%]]]][br] {{{-2 (2004)}}} ||<width=25%> [[프라하의 연인|[[파일:프라하의 연인 로고.png|width=100%]]]][br] {{{-2 (2005)}}} ||<width=25%> [[연인(2006년 드라마)|[[파일:연인 2006 SBS 로고.png|width=60%]]]][br] {{{-2 (2006~2007)}}} || || [[온에어|[[파일:온에어 로고(다색).png|width=100%]]]][br] {{{-2 (2008)}}} || [[시티홀|[[파일:시티홀 로고(흑).png|width=100%]]]][br]{{{-2 (2009)}}} || [[시크릿 가든(드라마)|[[파일:시크릿가든_logo.png|width=100%]]]][br] {{{-2 (2010~2011)}}} || [[신사의 품격|[[파일:신사의 품격 로고.png|width=90%]]]][br]{{{-2 (2012)}}} || ||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 - 상속자들|[[파일:상속자들_로고.png|width=100%]]]][br] {{{-2 (2013)}}} || [[태양의 후예|[[파일:태양의 후예 로고(B).png|width=100%]]]][br]{{{-2 (2016)}}} ||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파일:도깨비 로고 (가로 버전).png|width=100%]]]][br]{{{-2 (2016~2017)}}} || [[미스터 션샤인|[[파일:미스터션샤인로고.png|width=80%]]]][br] {{{-2 (2018)}}} || || [[더 킹 : 영원의 군주|[[파일:더 킹 영원의 군주 로고.png|width=100%]]]][br]{{{-2 (2020)}}} || [[더 글로리|[[파일:더 글로리_로고 블랙.png|width=100%]]]][br]{{{-2 (2022~2023)}}} || [[다 이루어질지니]][br]{{{-2 (2024)}}} || || ||<-4><bgcolor=#BFB8C6> {{{#fff,#1f2023 [[:분류:김은숙/작품|{{{#fff,#1f2023 '''영화'''}}}]]}}} || ||<-2><width=50%> {{{#000 백만장자의 첫사랑}}}[br]{{{-2 (2006)}}} ||<-2><width=50%> {{{#000 사랑하니까, 괜찮아}}}[br]{{{-2 (2006)}}} ||




tvN 토일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2018)
파일:미스터 션샤인 포스터.jpg
시청 등급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언어, 모방위험, 선정성, 폭력성)
언어별 제목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미스터 션샤인
영어
Mr. Sunshine
중국어
陽光先生[1]
일본어
ミスター・サンシャイン
태국어
สุภาพบุรุษตะวันฉาย
[1] '양광선생'. 영어 제목을 직역한 것으로, 넷플릭스가 직접 진출한 타이완,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 등 중화권에서 사용하고 있다.
방송 시간, 오후 09:00 ~
방송 기간2018년 7월 7일 ~ 2018년 9월 30일
방송 횟수24부작
장르시대극, 복수, 멜로, 로맨스, 드라마
제작화앤담픽쳐스
채널tvN


기획스튜디오드래곤
제작윤하림
연출이응복, 장영우, 정지현
극본김은숙
음악남혜승
제작비430억
출연이병헌, 김태리, 유연석, 김민정, 변요한
타이틀곡
오프닝
미스터 션샤인- 남혜승, 박상희
ㅤㅤ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V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

엔딩
그 날- 박효신
ㅤㅤ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V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공개 정보
2.2. 포스터
3. 기획의도
6. 음악
7. 방영 목록 및 시청률
9. 평가
9.1. 평점
9.2. 주제 의식
10. 수상
11. 촬영지
12. 기타
1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18년 7월 7일부터 2018년 9월 30일까지 방영한 구한말을 배경으로 하는 tvN 토일 드라마.

가끔 미스터 샤인으로 헷갈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미스터 샤인임에 유의할 것.

특이한 점은 드라마 자체가 영화처럼 21:9 종횡비로 제작되었다. 다만 tvN 방송 송출 자체는 16:9 규격으로 되다보니 16:9 규격에 맞춰서 레터박스를 추가한 상태로 방송된다. 드라마에서 위 아래로 검은 띠가 있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다만 마지막 장면만은 풀화면으로 나왔다.

이번 드라마도 넷플릭스에서 독점 작품형태로 전 세계 넷플릭스 서비스 국가를 대상으로 2018년 7월 7일부터 스트리밍에 들어갔다. 다만 9월 22일에 방영된 스페셜은 서비스하지 않는다.


2. 공개 정보[편집]


  • 태양의 후예, 도깨비를 제작한 김은숙 작가와 이응복 PD가 3번째로 호흡을 맞추는 작품이며, 주연배우로는 이병헌김태리가 캐스팅되었다. 방송사는 tvN으로 확정,[1] 제작비는 약 430억 정도이며, 이 중 70% 정도인 300억을 넷플릭스에서 투자했다. 2018년 7월 7일 방영. 완전한 사전제작 드라마는 아니나, 시대극인 만큼 준비해야 할 것들이 많아, 드라마의 퀄리티를 위해서 일찍 캐스팅을 끝내고 제작에 착수한다고 한다. 6월 마지막 주를 기점으로 최종화의 대본이 탈고되었다고 한다.

  • 내부자들로 다시 한번 배우로서의 역량을 인정받은 이병헌아이리스 이후 9년 만의 드라마 복귀작, 박찬욱 감독의 아가씨로 데뷔해 국내외 영화제 신인상을 석권한 라이징 스타인 김태리의 첫 드라마 출연, 무엇보다 태양의 후예도깨비의 연타석 흥행을 이끌어낸 김은숙 작가의 차기작이라는 점에서 많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2.1. 예고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미스터 션샤인/예고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포스터[편집]


캐릭터 포스터
파일:미스터 선샤인 드라마 포스터.jpg
파일:f131728319797188000(0).jpg
파일:f131728319076156000(0).jpg
파일:f131728318477428000(0).jpg
파일:f131728317333324000(0).jpg
중국판 포스터
파일:陽光先生_이병헌.jpg
파일:陽光先生_김태리.jpg
파일:陽光先生_유연석.jpg
파일:陽光先生_김민정.jpg
파일:陽光先生_변요한.jpg
넷플릭스 포스터
파일:미스터션샤인_넷플릭스포스터.jpg


3. 기획의도[편집]


파일:미스터 션샤인 로고.png
‘뜨겁고 의로운 이름, 의병(義兵)’
역사는 기록하지 않았으나 우리는 기억해야 할,
무명의 의병(義兵)들.
노비로 백정으로 아녀자로 유생으로 천민으로 살아가던 그들이 원한 단 하나는
돈도 이름도 명예도 아닌, 제 나라 조선(朝鮮)의 ‘주권’이었다.
[미스터 션샤인]은 흔들리고 부서지면서도
엄중한 사명을 향해 뚜벅뚜벅 나아가는 이름 없는 영웅들의,
유쾌하고 애달픈, 통쾌하고 묵직한 항일투쟁사다.
‘낭만적 사회와 그 적들.’
20세기 초 한성(漢城).[2]
동양과 서양이, 추문과 스캔들이,
'공자 왈 맹자 왈'과 '똘스또이'가 공존하던 맹랑한 시대.
'모던 걸' '모던 보이'들이 노서아 가비(커피)를 마시고
구락부에서 ‘딴스’를 추던 명랑한 시대.[3]
잉글리쉬를 익혀 '초콜렛또'를 건네며 'LOVE'를 고백하던
달콤 쌉싸름한 낭만의 시대.
그러나 그 속에서 누군가는,
조국을 빼앗겨 이름을 빼앗겨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장렬히 죽어가던,
상실의 시대.
[미스터 션샤인]은 가장 뼈아픈 근대사의 고해성사다.
‘그리고 사랑.’
1905년.[4]
미국필리핀식민지로 얻는 조건으로 조선일본의 손아귀에 넘겨버리는 밀약을 체결한다.
가쓰라 태프트 밀약’으로 날개를 단 일본은 마침내 거친 야욕을 드러내고, 애신의 조선은 힘없이 부서져 내리는데, 어쩌자고 그녀는... 저렇듯 꽃처럼 예쁘단 말인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99주년을 맞는 2018년 방송예정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은, 미국의 이권을 위해 조선(朝鮮)에 주둔한 검은머리의 미 해병대장교 유진 초이(Eugene Choi)와 조선의 정신적 지주인 고씨 가문의 마지막 핏줄인 애신 애기씨의, 쓸쓸하고 장엄한 모던 연애사다.


4.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미스터 션샤인/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명대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미스터 션샤인/명대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음악[편집]


파트표지발매일곡명아티스트링크
Part.1
파일:그 날.jpg
2018년 7월 8일그날 (The Day)박효신파일:유튜브 아이콘.svg[5]
Part.2
파일:미스터 션샤인 OST.일레인.jpg
2018년 7월 15일슬픈 행진 (Sad March)일레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3
파일:눈물 아닌 날들.jpg
2018년 7월 22일눈물 아닌 날들김윤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4
파일:미션ost4.jpg
2018년 7월 29일소리이수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5
파일:미션5.jpg
2018년 8월 5일좋은 날멜로망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6
파일:My Hone(Eugene's Song).jpg
2018년 8월 6일My Home (Eugene's Song)사비나 앤 드론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7
파일:바람이 되어.jpg
2018년 8월 12일바람이 되어하현상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8
파일:이방인.jpg
2018년 8월 13일이방인박원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9
파일:미스터 션샤인 OST Part 9.jpg
2018년 8월 19일Shine Your Star (Prod. by ZICO)오존 (O3ohn)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10
파일:미스터 션샤인 OST Part 10.jpg
2018년 8월 26일And I뉴이스트 W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11
파일:미스터 션샤인 OST Part 11.jpg
2018년 9월 2일See You Again (Feat. 리처드 용재 오닐)백지영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12
파일:미스터 션샤인 OST Part 12.jpg
2018년 9월 9일불꽃처럼 아름답게신승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13
파일:미스터 션샤인 OST Part 13.jpg
2018년 9월 16일정인세정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14
파일:미스터 션샤인 OST Part 14.jpg
2018년 9월 23일If You Were Me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15
파일:미스터션샤인OST_Part.15.jpg
2018년 9월 30일어찌 잊으오황치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OST
파일:미스터_션샤인_OST.jpg
2018년 10월 1일Limited Edition Album[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방영 목록 및 시청률[편집]


회차방영일자시청률
전국수도권
1회2018년 7월 7일8.9%10.6%
2회2018년 7월 8일9.7%11.5%
3회2018년 7월 14일10.1%12.4%
4회2018년 7월 15일10.6%11.9%
5회2018년 7월 21일10.8%12.7%
6회2018년 7월 22일11.7%13.5%
7회2018년 7월 28일11.1%12.6%
8회2018년 7월 29일12.3%13.9%
9회2018년 8월 4일11.7%12.8%
10회2018년 8월 5일13.5%15.4%
11회2018년 8월 11일12.8%14.2%
12회2018년 8월 12일13.4%15.4%
13회2018년 8월 18일13.3%15.4%
14회2018년 8월 19일15.6%17.7%
15회2018년 8월 25일12.9%14.7%
16회2018년 8월 26일15.0%17.4%
17회2018년 9월 1일7.7%8.9%
18회2018년 9월 2일14.7%16.3%
19회2018년 9월 8일14.1%16.5%
20회2018년 9월 9일16.5%18.1%
21회2018년 9월 15일14.3%16.0%
22회2018년 9월 16일16.6%18.7%
스페셜2018년 9월 22일[7]8.9%9.4%
23회2018년 9월 29일15.4%17.2%
24회2018년 9월 30일18.1% 21.8%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2가 나오기 전까진 역대 tvN 드라마 첫방송 시청률 1위였다. 역대 tvN 드라마 시청률 4위[8]이다. 첫 방송 때 엄청난 성적을 거둔 후에도 10%대 시청률을 유지하며 대박을 터트렸다. 14회에서 15%의 벽을 넘겼다.

심지어 17회의 경우에는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결승전+한일전+손흥민 병역면제 중계로 인해 시청률을 많이 빼앗겼는데 7%대로 이 시간대의 이전 드라마들의 최고시청률과 비슷하게 나왔다. 한술 더 떠서 9월 22일은 소위 말하는 총집편이었음에도 8.9%나 나왔다.

8월 15일 시청률이 특이한데, 케이블 기준으로 거의 모든 순위들을 먹어치웠다.[9] 1~12회를 몰아 편성한 탓이라고 하기엔 수십 년 전처럼 채널이 몇 없던 시절도 아닌 현대인 데다, 이 날 전국/수도권 순으로 최저/최고 시청률이 1.7/3.8% / 2.1/4.9%인데, 단일로도 어지간한 프로그램들의 본전 내지 중박 수준의 시청률을 보여줌으로써 이 드라마의 영향력을 알 수 있다.

대망의 마지막회가 방영된 9월 30일에 수도권 20% 시청률을 넘겼다.


8. 탐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미스터 션샤인/탐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평가[편집]



9.1. 평점[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 🔶🔶🔶 일단 위키 링크는 사이트 정식 명칭 MYmovies.it로 걸어둠
파일:마이무비스.it 로고.png
[[https://www.mymovies.it/film/2018/mr-sunshine|
스코어
4.00 / 5.00
비평 별점
비평가 별점 / 5.00
관객 별점
3.06 / 5.00
]]
||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별점 8.1 / 10



파일:Filmarks 로고.svg
별점 4.1 / 5.0





파일:더우반 로고.svg
별점 9.0 / 10





파일:야후 키모.png
별점 4.9 / 5.0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지수 95.89% 별점 / 5.0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별점 4.2 / 5.0





파일:TMDB 로고.svg
점수 84%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평점 8 / 10


파일:MyDramaList_logo.png
유저 평점 8.9 / 10.0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평가가 매우 좋다. 김은숙 특유의 유치한 설정 때문에 호불호가 갈렸던 전작들과 확실히 대조되는 평가를 받고 있다.[10] 방영된 지 몇 년이 지났음에도 슬기로운 의사생활과 함께 국내 넷플릭스 TOP10에 들 정도로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인기를 자랑한다. 의병이라는 소재가 매우 잘 활용되어 스토리의 감동과 여운이 짙은 드라마라는 평이 많다. 영상미와 연출에 대한 평가도 매우 높다. 대표적으로, 밀가루 위에 반지로 알파벳 O를 대신해 LOVE를 만든 후 다시 반지를 집어가면서 O가 있던 자리의 손가락 자국이 I가 되어 단어가 LIVE로 바뀌는 장면이다. 해당 에피소드에서 주요 인물의 생존을 암시하는 장면으로 작품 전체의 백미로 꼽힌다. 그리고 한국드라마의 고질병인 로맨스 부분을 전부 안보고 넘겨도 내용 이해에는 문제가 전혀 없다. 시종일관 진지한 내용이지만 가볍고 재밌는 개그들을 적당한 호흡으로 넣어 지나치게 무겁지 않은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도 장점이더.

주인공인 고애신이 조선을 상징하는 인물이라는 의견이 있다. 마지막에 유일한 생존자가 되어 만주로 가서 의병을 키워내는 것이 고애신이 조선을 상징한다는 단면적인 증거이다. 또한 고애신을 목숨걸고 보호하려던 주연들의 행동은 점점 조선의 미래를 도모하는 행동으로 바뀌어간다.

영상미와 관련해선 돈을 들인 티가 확실히 나며 매화 마치 영화를 보는 것 같다는 평가가 많다.
특히 주황, 붉은색과 초록, 파랑의 대비가 상당히 두드러지는데 붉은 계통색이 지배적인 환경(낮, 방 안 등)에서는 거의 반드시 초록, 파랑빛의 소품을 배치시키고, 푸른 계통이 지배적인 환경(밤, 숲 등)에서는 마찬가지로 붉은 소품을 배치시키며 시청자의 시선을 환기한다. 이외에도 많은 씬에서 거의 영화적 연출에 가까울 정도로 놀라운 영상미를 자랑한다.

또한 일부 옥에 티나 오류가 있기도 했지만 대한제국 당시의 풍경을 실제와 가깝게 묘사했고, 시대의 사회상과 고뇌를 치밀하게 다루었기에 향후 대한제국 사극이 나올 시 귀감이 될 만한 작품이라는 평도 있다.

배우들의 열연 또한 엄청난 호평을 받았는데 드라마가 마음에 안 든다는 사람들도 배우들의 연기는 매우 높게 평가했다. 단순히 주연 5인방뿐만 아니라 조연들도 주목받았는데 대표적으로 츠다 하사 역의 이정현과 모리 타카시 역의 김남희가 있다. 일본인 역할을 맡은 배우들도 재일교포 아니면 일본어 능력자들을 적극 활용해 어색함을 어느 정도 덜어냈고[11] 그동안 서프라이즈 재연 배우 같은 어색한 연기를 보여주었던 서양인 배우들도 크게 거슬리는 일 없이 자연스럽게 극에 녹아들었다.

이 드라마의 영향으로 인해 당시 역사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기도 했으며[12],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과 맞물려, 2019년에는 독립운동을 주제로 한 드라마의 제작이 활발해질 움직임도 있다.

단점으로는 배우들의 대사가 잘 안 들린다는 이야기가 많았으며 늘어지는 전개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9.2. 주제 의식[편집]


미스터 션샤인의 주제는 '자기 구성원들에게 고통을 준 사회라고 해도 그 구성원들이 나서서 지킬 가치가 있는가?'이다. 본작에서도 침략자인 일본 제국은 매우 악랄하고 교활한 세력으로 묘사된다. 하지만 그 피해자인 조선(대한제국)도 결코 긍정적으로 묘사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조선의 억압적인 실상과 후진적인 사회 구조가 적나라하게 묘사된다. 조선의 인물들도 선인이든 악인이든 하나같이 구시대적 세계관에서 벗어나지 못한 인물들로 나온다. 그나마 청렴한 충신으로 묘사된 이정문이나 고사홍마저도 유진이나 동매의 과거를 듣고 안쓰러워하기는커녕 그를 "천출의 자식", "출세를 위해 조국을 배신한 자", "백정 놈의 자식"이라 부르며 구시대적인 인습에 사로잡혀있음을 보여준다.[13]

특히 등장인물들의 묘사는 주제와 크게 연관되어 있다. 작중 주연들은 하나같이 조선의 전근대적 체제 때문에 상처 가득한 과거를 지닌 인물들이다. 주인공인 유진 초이는 사회의 최하층 계급인 노비였던 바람에 부모를 잃고 목숨이 왔다갔다하는 위기를 겪다가 이국으로 건너가 밑바닥에서부터 대성했다. 구동매 역시 최하층 계급인 백정으로 태어나 온갖 차별과 학대에 시달리다가 일본으로 도망가 장성했다. 쿠도 히나도 아버지에 의해 일본인 부호에게 팔려갔었다. 주연은 아니지만, 고애신의 스승이자 의병인 장승구도 조선에서 아버지를 잃고 나라로부터 버림받은 과거가 있다.

억압에서 자유로웠던 이들조차 한 가지씩 마음의 짐과 족쇄를 지니고 있다. 유진 초이와 더불어 또다른 주인공인 고애신은 조선의 최고 기득권층이지만, 여자라는 이유로 사회 진출은커녕 기본적인 자기계발이나 교육의 혜택도 눈치 보며 받아야 했다. 김희성도 역시 최고 기득권층에 속하지만, 그 지위를 남용해 온갖 악행을 저지른 조부와 친부 때문에 깊은 죄책감에 시달린다.

이런 인물들의 과거와 그로 인한 상처가 조명되면서 작중 인물들의 입을 빌려 끊임없이 의문이 제기된다. 유진 초이가 고애신에게 얼어붙은 강 한복판에서 건네는 질문은 이 작품의 또다른 주제의식을 함축적이면서도 직설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알 수 있는 대사가 "그대가 구하고자 하는 조선은 노비도 백정도 살아갈 수 있는 곳이오?"인 것이다.

물론 이 의문이 제기되는 선에서만 끝나지 않고 작품 후반부에 이를수록 그 대답과 결론이 분명하게 제시된다. 작중 주연들은 모두 끝내 조선을 위해 싸우기로 결정을 내린다.[14] 여기서 그들이 본질적으로 구하고자 하는 조선은 '왕정국가 조선'도 아니요 '사회로서의 조선'[15]도 아니며, 다만 '내 주변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는 공간'으로서의 조선이다. 덧붙여, 유진과 동매는 국가이자 사회인 조선으로부터 버림 받았었음에도 불구하고, 애신 주변의 공동체에 머무르며 여러 사건을 겪으면서 그들과 그 공간만큼은 지키고자 결심하는 것이다.[16]


10. 수상[편집]


수상 연도시상식수상자부문
2018년제6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APAN Star Awards)
올해의 드라마상
이병헌대상
김민정여자 연기상
김태리여자 신인상
제2회 더 서울 어워즈이병헌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
유연석드라마 부문 남우조연상
제26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이정은드라마 부문 우수연기상
김남희드라마 부문 조연상
2018 방송비평상드라마 부문
제8회 대한민국한류대상윤하림(화앤담)대중문화대상 드라마 부문
제12회 미디어 어워즈유료방송 콘텐츠 우수상
제23회 소비자의날 시상식시청자가 뽑은 올해의 드라마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이병헌배우 부문 대상
배우 부문 페뷸러스상
배우 부문 올해의 아티스트상
유연석베스트 액터상
배우 부문 올해의 아티스트상
2019년2019 케이블TV방송대상PP작품상 드라마부문 대상
VOD부문 대상
제55회 백상예술대상이병헌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2019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사회·문화 발전 TV부문 우수상
제1회 아시아콘텐츠어워즈베스트 크리에이티브상


11. 촬영지[편집]






















12. 기타[편집]































13. 둘러보기[편집]



파일:스튜디오드래곤 로고 화이트 2016.svg 제작
둘러보기

2016~20202021~2025





[1] 본래 이 드라마는 SBS에서 방영될 예정이었지만 회당 제작비가 15억 원에 육박해 SBS가 제작을 포기하였다고 알려졌으나, 김은숙 작가는 인터뷰에서 "회당 제작비가 15억은 아니며, 아직 확실한 제작비 산출이 되지 않았다"고 이야기하였다. 관련기사 이 외에도 표면적인 이유는 이병헌과 SBS 드라마본부의 적대적인 관계로 인해서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병헌과 SBS 드라마본부가 왜 적대적 관계로 변했는지는 이 항목 참조. 그러나 2010년 SBS 연기대상에 인터뷰 형식으로 출연했고, 2012년 특집 다큐멘터리 "최후의 제국"에서 내레이션을 맡은 데 이어 2013년 힐링캠프에 게스트로 출연한 걸 보면 그렇게까지 척을 지는 건 아닌 듯하다. 사실 정확히는 태양의 후예가 KBS에, 도깨비가 tvN에 방영되면서 당시 김은숙 작가와 SBS가 소원해진 영향이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 이후 더 킹 : 영원의 군주를 다시 SBS에 방영하면서 관계회복을 하나 싶었지만 오히려 김은숙 커리어 첫 드라마 실패작이 되었다가 2022년 넷플릭스를 통해 선보인 더 글로리로 재기에 성공하게 된다.[2] 원래는 19세기 초라 되어 있었으나 20세기 초로 바꿨다.[3] 오해가 있는 것 같은데 '구락부'는 club이라는 단어에서 연유된 말이긴 하지만, 지금의 클럽을 번역한 것으로 생각하면 곤란하다. 구락부는 '모던 보이'와 '모던 걸'이 딴스를 추던 곳이 아니라 당시 조선에 거주하던 외국인들의 사교모임으로, 구락부 내에는 도서실, 당구대, 바와 테이블, 테니스 코트 등이 갖춰져 있어 주로 차나 술을 마시며 정치 외교를 비롯한 여러 화두로 정보를 나누던 곳이었다. 서울에는 정동 지역에 '서울구락부'와 '서울유니온구락부'가 있었는데, 기본적으로는 외국인만 드나들 수 있었기 때문에 구락부에서 모이는 사람들은 대체로 외국에서 온 각국 외교관선교사 정도였고 원칙적으로 한국인은 출입이 불가능했다. 즉, 춤추던 곳이 아니다. 1901년에 인천 조계지에 지어진 제물포 구락부 건물이 아직 남아있으니 참조. 모던보이나 모던 걸들이 춤을 추던 장소는 '딴스홀'이지만, 우리나라에 '딴스홀'이 생긴 것은 1937년 이후이다.[4] 유진이 도착하자마자 암살한 미국인의 묘비에 새겨진 년도는 1902년이다.[5] 음원과 뮤직비디오의 끝부분이 살짝 다르다.[6] 다만 전체곡 50곡 중 14곡은 CD로 들을 수 있도록 음원을 막아놓아서 결과적으로 사서 들어야 하는데 여러 OST 중 최고가가 68400원 그 다음은 34200원 가량이며 부록만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최저가로 일반판도 나왔으나 일반판은 배경음악은 없고 가수들이 부른 곡만 실려 있기에 자세히 보고 구입하는 것이 좋다. [7] 원래는 23회가 방영될 예정이였지만 추석 연휴인 걸 감안한 건지 스페셜 방송으로 대체되었다.[8] 1위 사랑의 불시착, 2위 도깨비, 3위 응답하라 1988[9] 전국은 1/2/9위, 수도권은 1/3/10위에 순서대로 수목드라마 아는 와이프수미네 반찬, 연합뉴스(전국)/수요미식회(수도권)이었다. 더불어 12회 중 7회이므로 과반이 순위를 잠식한 셈.[10] 김은숙 작가가 너무 오글거리는 작품만 쓴다는 평에 빡쳐서 쓴 작품이라는데, 오죽하면 이 작품을 본 팬들이 계속 김은숙이 빡쳤으면 좋겠다고(...).[11] 친일파 이완익 역을 맡았던 김의성의 경우 일본어는 아예 문외한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대본을 외움으로써 현지인으로부터 일본인 본토 수준이란 평가를 받았다.서울대 출신 크라스[12] 대표적으로는 '션샤인 학당'이라는 모임이 만들어지기도 했다.[13] 당장 노비 문서를 태워 백지화시키고 백정 등 천민들의 대우를 개선할 것을 요구하는 폐정 개혁안을 조선 조정에서 받아들인 전주 화약이 드라마 시간적 배경에서 불과 10년쯤 전 동학 농민 운동 때 일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함께 진행된 갑오개혁으로 조선의 신분제는 공식적으로나마 철폐됐다. 쉽게 말해 미스터 션샤인 시간대의 조선에는 백정이나 천민이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당시 조선의 신분제와 사회적 모순이 몇 년짜리 개혁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을뿐더러 사람들의 인식은 바뀌기 더더욱 어려웠음을 보여주는 장치.[14] 한 예로, 어째서 조선을 위해 싸우냐는 물음에 장승구(장포수)는, "나라가 남아 있어야 내 손으로 무너뜨릴 것 아니오?!"라고 말한다.[15] 가령, 애신이 할아버지이자 왕의 스승인 고사홍 대감에게 평생 독신으로 살겠다고 맞서는 것은 조선사회에서는 용납되지 않는 행동이었다. 이미 1화에서부터, 대갓집 여성인 애신의 행보는 애신 또한 '그간의 조선사회'에 속하지 않는 것임을 보여준다.[16] 실제 역사속에서도, 의병 초기에는 '복벽주의(왕정복고)'가 목표인 의병단체들이 많았고 같은 의병들간에도 신분차별이 있었으나, 이들은 1910년대에 이르러서는 그 한계에 부딪혀 대부분 사라졌다. 적어도 왕정국가가 목표는 아닌 자들이 중심이 되어 1945년 해방 직전까지의 독립운동을 지속하였고, 삼균주의 등의 사상을 내세운 바 있다.[17] 김기창 화백이 생전에 머물며 작품활동을 하던 집으로 김기창이 사망한 뒤엔 그를 기념하는 미술관으로 활용하고 있다.[18] 작중 고애신의 부모 역.[19] 올인에서의 오르골 음악은, 드라마 주제가 "처음 그날처럼"이다.[20] 췌장암은 암 중에서 발견하기 가장 힘들기로 악명높은 암이다.[21] 각개전투훈련, 그리고 실제 세열 수류탄 훈련하러 가는 길에 볼 수 있다. 힘든 훈련을 끝낸 후 복귀 중 다시 이 세트장을 보면 거의 도착했다는것을 느낄 수 있다. 훈련소 인근의 모 훈련장과 인접해 있으며 막사가 육안으로 보인다.[22] 지구의 적도 둘레가 4만 km이다...[23] 유명 외국 배우 캐스팅이 어렵게 되자 어릴 때 미국으로 건너간 검은머리 외국인이라는 설정을 추가하여 국내 배우 캐스팅으로 돌린 듯하다.[24] 대체로 자체 제작이 아닌 경우 이런 표기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사실 자체 제작도 아닌데 후속 시즌 제작여부를 넷플릭스가 알 리가 없으니 당연하다.[스포일러] 그래도 각시탈은 주연 4명 중 2명이 살아남았지만 여기선 주연이 5명인데도 1명 밖에 못 살아남았다.[25] 다만 액션신과 풍자성이 둘 다 높은 두 드라마와 달리 이쪽은 처음부터 액션 형식으로 방향을 잡았고 극중 무대도 상하이로 넘어가서 이해할 여지는 있다.[26] 言衆. 같은 언어를 사용하면서 공동생활을 하는 언어 사회 안의 대중. 출처:국립국어원.[27] 그래서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ㅅ 뒤의 ㅑ, ㅕ, ㅛ, ㅠ를 ㅏ, ㅓ, ㅗ, ㅜ로 쓰게 했는데, 어느새 '사서소수'와 '샤셔쇼슈'의 발음 차이가 생겨버렸다.

관련 문서